ETC

[따뜻한 하루] 미완성의 미학 (따뜻한 편지 1161호)

리베시6849 2018. 9. 12. 10:18
300x250



미완성이라고 하면 누구도 쉽게 관심을 가지지 않습니다.

그러나, 우리 주변에는 미완성이기에 때로는
더욱 가치 있는 것들이 있습니다.

가곡의 왕이라 불리며 마왕, 송어 등을 작곡했던
프란츠 페터 슈베르트는 몇 건의 미완성 작품을 남겼는데
그중 가장 유명한 것이 바로 '교향곡 제8번 b 단조'의 
미완성 교향곡입니다.

보통 교향곡은 4악장으로 구성되지만
슈베르트가 25세에 작곡을 시작한 미완성 교향곡은 
3악장 중간에서 끝납니다.

작곡을 시작하고 요절할 때까지 6년이란 세월이 있었고, 
그사이 다른 걸작품도 많이 완성한 슈베르트가 
이 곡을 왜 끝까지 미완성으로 남겼는지는 
아무도 모릅니다.

이 작품은 미완성인 상태로 '완전한 걸작'으로 
칭송받고 있습니다.



여백의 미를 알고 즐길 수 있는 우리 한민족은 
오히려 이런 미완성 작품의 아름다움을 제대로 
느낄 수 있을 것입니다.

무언가 모자라더라도 낙심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, 
완성되고 완전한 것에서 얻으려고만 하지 않고 
오히려 그 빈터에 씨를 뿌리고 꽃을 피워 
그 꽃을 다른 사람과 나눌 수 있는 마음.

바로 그 마음을 통해 미완성의 아름다움을 
느낄 수 있습니다.


# 오늘의 명언
모든 미완성을 괴롭게 여기지 말라.
미완성에서 완성에 도달하려는 노력이 필요하기 때문에
신은 일부러 인간에게 수많은 미완성을 내려주신 것이다.
– 아놀드 하우저 –


= 따뜻한 댓글은 다른 가족님께 힘이 되는 소중한 글입니다 =


= 여러분이 있어서 오늘도 '따뜻한 하루' 입니다 =
300x250